청년도약게좌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으로 현 정부에서 청년들이 유의미한 수준의 목돈을 마련하여 교육, 취업, 주거 등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되는 정책입니다.
국가에서 청년도약계좌를 6월에 출시한다고 해서 주변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금융위원회의 발표자료를 토대로 많은 청년들이 궁금해하는 것들을 찾아 알려 드립니다.
국회심의 및 법령개정 완료:
정부에서는 국회의 심의를 거처 청년도약계좌 운영을 위한 예산을 확정하고 관련 법령 개정을 완료했다고 합니다. 또한 관계부처 및 기관과 조속한 출시를 위해 세부 상품 구조에 대한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취급기관 및 상품출시:
쳥년도약계좌 취급기관이 아직은 선정되지 않았고, 적금 취급이 가능하며 안정적 자산규모와 일정규모이상의 전산인프라가 갖춰진 기관이 취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합니다. 출시 상품에 대해서도 아직 미정이나 세부 사항은 상품 운영을 담당하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별도 공고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이 낮고 자산이 부족한 청년들에게 조금 더 두텁게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부 상품 구조를 설계하였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격 :
만기 5년의 중장기 상품으로 만 19세~34세 청년 중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할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저소득층에는 보다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 한도와 매칭 지원 비율을 소득 구간별로 차등 설정하였으며, 저소득층 대상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부여하는 방안도 취급기관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합니다.
금리구조: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 변동금리 적용 현재의 금리도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6월에 출시할 때 정확한 금리가 책정될 것 같습니다.
※ 변동금리는 3년 고정금리 시기에 적용되는 가산금리를 해당 시점의 기준금리에 대해 설정될 예정이며,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부여될 것이며 취급기관별 금리 수준은 취급기관이 확정된 이후 금융협회 홈페이지등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계좌 개설방법 :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부터 취급기관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을 개시할 예정이며, 연중 계속 가입을 실시합니다.
관계부처와 연계를 통하여 가구소득 심사와 개인소득 심사 모두 원칙적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하며, 청년들은 가입신청 후 2~3주가 지나면 심사 결과를 아실 수 있습니다.
만기가 중장기인 만큼 가입일로부터 1년마다 개인소득을 기준으로 유지 심사를 진행하여 기여금 지급 여부 및 규모 등을 조정해 나간다고 합니다.
저는 오늘 청년도약계좌에 대하여 알아봤는데요. 정부예상 300만 명이 초과되는 청년층에게 청년도약계좌를 운영하기 위하여 3,678억 원의 예산이 잡혀있다고 합니다. 개인소득에 따라 기여금한도도 다르다고 하니 정확한 공고가 나왔을 때 다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자료출처:대한민국정책브리핑
'국가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일자리 찾으시나요? :: 시니어클럽 & 60세 이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모집중 (3) | 2024.12.03 |
---|---|
인플루엔자(독감)예방접종 안내 :: 무료 접종대상/ 접종 기간/ 접종 지정기관/ 접종시 주의사항 (5) | 2024.10.09 |
[산림청]2023년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 모집공고&(홍천국유림관리소) (0) | 2023.01.17 |
[산림청] 산림일자리발전소 6기 그루매니저 모집공고:: 모집인원& 모집기간/접수기간 (0) | 2023.01.16 |
[노동부]내일배움카드 :: 2023년 새로운 보도자료 &"중장년 새출발 카운슬링"경력진단/ 경력설계/ 재취업/ 업종상담/ 희망업종 (0)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