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170
한글을 처음 배우는 아이들은 홑 받침을 너무 어려워한다. 그런데 겹받침을 쓰라고 하면 'ㄼ'을 'ㅂㄹ'으로 바꿔서 쓰기도 하고 겹받침만 나오면 읽을 때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몰라서 쩔쩔매기도 한다. 그런데 읽고 쓰는 것을 몇 번만 정확하게 알려주면 글을 쓰거나 읽을 때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잘하게 된다. 특히 신발을 거꾸로 신는 아이들의 경우는 겹받침 배우기를 너무 어려워한다. 왜냐하면 신발을 거꾸로 신는 것과 밭침의 자리를 바꿔 쓰는 경우가 착시현상이기 때문이다. 이런 아이들은 아이의 착시현상이 없어지면서 글 씨도 정확히 알게 된다.
겹받침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자음자로 이루어진 받침을 겹받침이라고 합니다.
겹받침에는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ㄿ, ㅀ, ㅄ이렇게 11개가 있습니다.
11개의 겹받침 중에서 이장에서는 겹받침 'ㄼ'의 소리가 어떻게 나는지를 알아봅시다.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0항 겹받침 'ㄼ'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ㄹ]로 발음한다. -표준어 규정-
넓다 [널따]
넓고 [널꼬]
넓지 [널찌]
넓게 [널께]
얇다 [얄따]
엷다 [열따]
짧다 [짤따]
떫다 [떨따]
여덟 [여덜]
다만 '밟-'은 자음자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1. 밟다 [밥:따]
밟소 [밥:쏘]
밟지 [밥:찌]
밟는 [밥:는⟶밤:는]
밟게 [밥:께]
밟고 [밥:꼬]
2. 넓-죽 하다 [넙쭉카다]
넓-둥글다 [넙뚱글다]
반응형
❊ 겹받침 'ㄼ'의 낱말이 'ㄹ'로 소리 나는 낱말을 알고 나니 그 낱말의 쓰임새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겹받침 'ㄼ의 낱말이 'ㄹ'로 소리 나는 낱말로 문장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1. 넓다 [널따] : 하늘이 넓다.
2. 넓고 [널꼬] :넓은 바다.
3. 넓지 [널찌] : 우리 학교 운동장 정말 넓지?
4. 넓게 [널께] : 큰 나무를 심으려면 구덩이를 넓게 파라.
5. 얇다 [얄따] :종이가 너무 얇다.
6. 엷다 [열따] :그림물감이 너무 엷다.
7. 짧다 [짤따] : 소매가 짧다.
8. 떫다 [떨따] : 도토리 맛이 떫다.
9. 여덟 [여덜] : 동생이 여덟 살이다.
❊ '밟-'이 자음자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는 경우의 낱말로 문장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1. 밟다 [밥:따] :계단을 밟다.
2. 밟소 [밥:쏘] : 당신은 왜 내발을 밟소?
3. 밟지 [밥 찌] : 내 신발을 밟지 말아라.
4. 밟는 [밥:는⟶밤:는] : 눈을 밟는 소리가 뽀드득거린다.
5. 밟게 [밥:께] : 꽃을 밟게 하면 안 된다.
6. 밟고 [밥:꼬] : 꽃길을 밟고 지나간다.
❊'넓-' 이 [넙]으로 발음하는 경우의 낱말로 문장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1.넓-죽 하다 [넙쭉카다] : 넓-죽 하다 는 길쭉하고 넓다는 뜻이다.
2.넓-둥글다 [넙뚱글다] : 친구 얼굴은 넓-둥글다.
이 글을 읽으면서 새로 알게 된 것과 잘못 알고 있었던 것 그리고 가끔 헛갈렸던 것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겹받침'ㄺ'의 발음 (0) | 2021.07.07 |
---|---|
응급처치 심폐 소생술 교육:: 숲길 등산지도사 교육과정 (0) | 2021.07.05 |
한글 비음 발음 (0) | 2021.07.01 |
한글 겹받침 'ㄺ'의 발음 :: 읽기와 쓰기가 다른 발음 (0) | 2021.06.23 |
받아쓰기 잘하는 방법 :: 받아쓰기 연습하는 방법 & 학년별 받아쓰기 체널공개 (0) | 2021.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