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리

섞박지 만드는 법 :: 쉽고 간단하면서 맛이좋은 섞박지 담그는법& 무의 효능

by bush 2023. 12. 10.
728x90
반응형
728x170

김장을 하면서 남는 무를 저는 섞박지를 좋아해서 섞박지를 큰 통 한통 담았습니다. 이렇게 담은 섞박지를 사골한솥고아 놓고 대파 썰어 넣고 섞박지와 함께 먹으면 별미가 따로 없지요.

 

 

석박지

 

김장철 무 한 단은 무가 커버 거의 1.7kg~2kg 정도 되는데요. 무청이 실해서 저는 오늘 무청의 연한 부분은 섞박지 담그는데 함께 넣었고요. 조금 억센 무청은 삶아서 냉봉보 관했다가 시래기나물, 시래기밥, 시래기된장국을 해 먹을 것입니다.

 

 

 

섞박지 맛있게 담그는 법 :

다발무 1단 5개 8.7kg

굵은소금 적당량

양파 1개

쪽파 한 줌

고춧가루 2컵

다진 마늘 2스푼

다진 생강 1스푼

새우젓 5스푼

설탕 2스푼

멸치액젓 5스푼

찹쌀풀 400ml

 

 

석박지재료

 

※ 무와 뿌리를 잘라내고 털도 뜯어내고, 무청도 부드러운 것을 떼어내고, 쪽파는 부리를 잘라내고 껍질을 벗기고 손질하여 물로 깨끗이 씻어서 준비합니다.

 

 

 

 

무 1/2로 자르기

1. 무는 깨끗이 씻어서 무의 껍질까지 사용합니다.

 

 

무 자르기

 

2. 무는 약간 도톰하게 자릅니다.

※치아가 약한 사람들은 무를 조금 얇게 자르고, 치아가 튼튼한 사람은 조금 두껍게 자릅니다.

 

 

반응형

 

 

쪽파썰기

 

 

3. 쪽파도 5cm 정도의 길이로 잘라줍니다.

 

 

4. 썰어놓은 섞박지무를  30분 절도 절입니다.

※ 섞박지는 절이지 않고 담아도 됩니다. 그런데 국물이 많이 생기는 것이 싫으신 분은 절였다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무가 절여지는 동안에 재료들을 섞어서 양념을 만들어 줍니다.

 

 

 

석박지버무리기

 

6. 만들어진 양념으로 섞박지를 버무려 줍니다.

 

 

300x250

 

 

 

석박지

 

7. 섞박지 담은 것은 김치통에 넣고 꼭꼭 눌러준다음 배춧잎이나 비닐로 덮어준다음 실온에 뒀다가 익으면 먹습니다.

 

 

 

 

 

 

 

무의 효능:

무는 위를 튼튼하게 하여 소화를 잘 시키고 가래를 없애주어 기침을 멈추게 하고 기운을 아래로 내리면서 중초를 넓혀주어 속을 편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으며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고 이뇨작용과 지혈작용이 있으며 숙취를 해소하며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만성기관지염이나 규페증, 백일해, 어린이 기침에 효과가 있으며 소화가 잘 안 되고 배에 가스가 차면서 더부룩하고 트림을 자주 하면서 설사나 이질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동맥경화, 비만에도 효과가 있으며 비뇨계통의 결석이나 담결석에도 효과가 있으며 숙취해소와 암증환자에도 적합합니다. 그리고 어혈이나 토혈 코피 나는 데 효과가 있으며 이질에도 좋습니다.(무의 효능출처: 약선식품 동의보감)

 

 

오늘은 섞박지 담그는 법을 기록했는데요. 우리가 설렁탕집에 갔을 때 나오는 김치가 섞박지고요. 섞박지는 겨울철만 먹는 것이 아니라 사계절 다 만들어서 먹는데요. 김장철 무로 만든 섞박지가 가장 맛있습니다. 무청을 조금 섞어서 섞박지를 만드는 것이 무로만 만든 섞박지보다 더 맛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