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은 어린 시절 아버지께서 자녀들의 간식을 준비해주기 위해서 밭의 습이 적은 부분의 한 고랑을 땅콩을 심으셨던 기억을 추억하는 작물입니다.
땅콩을 처음 캐오시면 땅콩 줄기와 함께 가져오시는데 줄기는 소의 여물에 넣으시려고 가져오시는 것입니다. 땅콩이 달린 줄기를 소죽 쑤는데 넣고 삶아서 아궁이 앞에서 까먹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오늘은 땅콩 재배하는 것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땅콩은 열대작물로 18세기 초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작물입니다. 우리나라 주산지는 경상북도 북부지역, 고창 여주, 제주의 우도 등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우수한 품종으로는 신팔광 땅콩과 다인 땅콩, 검은색 땅콩인 흑 생땅콩 등이 있습니다.
▶땅콩 재배환경 :
♣ 땅콩은 열대 원산의 고온 작물로 여름작물 중에서는 생육기간이 긴 편입니다. 생육 적정온도 25~30도씨 정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파종기와 여뭄 시기의 저온이 땅콩재배의 주된 장애요인입니다.
♣ 땅콩재배에 적합한 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석회질이 풍부하며 부식이 많은 모래 성분으로 된 보수력, 통기성이 적당한 땅이 좋습니다. 토양산도가 pH6.8 정도가 알맞으며 강산성 토양은 좋지 않고 이어짓기에 따른 감소가 큰 편이므로 돌려짓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땅콩은 꼬투리가 땅속에 있으므로 높은 두둑 재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둑을 70~80cm, 골을 30~40cm 되게 하고 두둑의 높이는 20cm아상 높게 만들어야 습해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파종방법과 파종시기 :
♣ 종자용 땅콩은 겉껍질을 벗긴 후 상처가 없고 충실한 종자만을 골라 종자소독을 하고 싹 틔워서 심습니다. 땅콩을 싹 틔워 파종하면 불량종자를 제거할 수 있고 싹트기가 촉진되며 기간을 단축시킵니다.
♣ 싹틔우기 방법은 충분히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물에 담갔다가 건져서 물기를 뺀 다음 따뜻한 곳에 2~3일간 젖은 채로 보관하면 5mm 정도 백색의 어린 뿌리가 나옵니다.
♣ 파종시기는 무피복 재배의 경우 남부지방은 4월 하순~5월 상순, 중부지방은 5월 상순이며, 비닐피복 재배는 10~15일 빨리 파종합니다.
♣ 종자 소요량은 10a에 잔 씨앗은 6~8kg, 굵은 씨앗은 11~13kg 정도입니다.
▶비닐피복
♣ 땅콩의 피복용 비닐은 흑색이 잡초관리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비닐의 두께는 자방병(씨방 자루)이 쉽게 비닐을 뚫을 수 있게 0.01mm의 저밀도 비닐이어야 하며, 파고의 지름은 5cm 가장 적당합니다.
♣ 피복재배용 비닐은 폭 110~120cm가 적당하며, 주간을 30~35cm로 하고 2 립 점 파아요 재배합니다.
비닐피복을 하면 토양온도 상승으로 싹트기와 생육이 촉진되어 꽃이 15일가량 빨리 핍니다. 또한 토양수분을 유지할 수 있어 한해와 습해를 경감시키며, 생유기 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어 수량이 40% 정도 증수됩니다.
♣ 친환경으로 땅콩을 재배할 때는 잡초관리를 위해서 흑색비닐 피복재배가 유리한데, 이는 대부분의 잡초 종자가 광발아 성(光發芽性)으로 햇빛이 들어가지 않으면 싹이 트지 않기 때문입니다.
▶땅콩에 발병하기 쉬운 병해와 방제법 :
♣ 땅콩에 발병하는 주요 병은 갈색무늬 병(갈반병), 검은 무늬병(흑반병), 그물 무 의병, 흰 곰팡이병 등이 있습니다.
♣ 병은 예방 위주로 방제하는 것이 좋으며, 우리나라의 기후와 강낭콩 생육을 고려할 때 장마기간인 7월 상순부터 15일 간 격으로 3~4회 정도 농약을 살포해서 병 발생을 막아야 합니다.
♣ 갈색무늬병, 검은 무늬병, 그물무늬병을 동시에 막을 수 있는 약제로 비터 타놀 수화제와 클로로탈로닐 수화제가 있으며, 최근에 전국적으로 많이 발생되고 있는 흰 곰팡이병은 베노밀 수화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로 방제가 가능합니다.
▶땅콩 수학 시기 :
♣ 땅콩 수확은 반드시 첫서리가 오기 전에 끝내야 하며, 수학 적기의 판단은 몇 포기를 캐어 꼬투리의 성숙도를 보고 결정합니다. 성숙한 것은 꼬투리 표면에 망상의 그물무늬가 형성되고, 덜 익은 종자는 그물이 생기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땅콩 수확시기는 대체로 9월 하순에서 10월 초순이다. 풋땅콩은 꽃이 핀 후 80~90일 경이 당도와 식감 등이 가장 좋은 시기로 이때를 맞추면 좋은 품질의 풋땅콩을 수확할 수 있다. 풋땅콩으로 판매한 목적이면 적기에 수확할 수 있는 면적을 감안하여 파종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땅콩재배 출처 :땅콩 다수확 재배 요령 - 이달의 이슈 농업기술http://rda.go.kr › middlePopOpenPopViewApi › sj=땅콩
'원예 > 재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강수확시기 :: 생강재배 (1) | 2022.10.12 |
---|---|
들깨수확시기 :: 들깨 추수하는 시간때&들깨 터는 법/ 들깨, 들기름, 들깨가루 보관법 (0) | 2022.10.02 |
알타리심는시기 = 총각무심는시기 :: 알타리무 밭 만들기& 알타리무 심는법/ 달고 맛있는무 만드는 법 (0) | 2022.08.29 |
김장 쪽파심는시기:: 쪽파 종구 준비하기& 쪽파 밭 만들기 / 쪽파심기/ 쪽파 심은 후 관리하기 (0) | 2022.08.28 |
김장무심는시기:: 씨앗파종하기& 김장무솎아주기/무 북주기 (0) | 2022.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