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야생화50

[오산 물향기수목원] 억새뿌리에 기생하는 야고 :: 가을꽃 야고 이야기 한라산에 자생하는 야고 꽃을 물향기 수목원에서 볼 수 있다. 오산 물향기 수목원 억새원에서 발견한 야고꽃 야고는 억새뿌리에 기생하며 사는 식물입니다. 야고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열당과의 기생식물입니다. 담배대더부살이 라고 합니다. 억새뿌리에 기생하며 사는 식물입니다. 줄기가 매우 짧아서 자세히 보지 않았으면 지나칠 뻔했습니다. 사진을 찍고 계시는 분이 있어서 자세히 볼 수 있었습니다. 줄기에 털은 없고 꽃밭침과 꽃이 보이는데요. 말의 머리를 연상하게 합니다. 꽃이 피는 시기는 8~9월에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을로 피는데요. 10월인 지금도 새로 피는 꽃들이 많았고요. 처음 보는 꽃이라 신기했습니다. 꽃이 시들은 것은 꽃잎이 말라있는데 그 안에 씨앗이 자라고 있는 것 같아요. 열매에 씨앗이 많이 들어있.. 2023. 10. 16.
두메부추:: 두메부추 번식법 &두메부추 꽃말/ 두메부추 효능 정원에 두메부추를 야생화로 키우는 후배가 두메부추 꽃이 예뻐서 심었다며 몇포기 나눔 해줬어요. 저희집 앞 정원에 심었는데 3년 만에 꽃이 예쁘게 피었습니다. 두메부추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주로 울릉도와 북부지방의 산지에서 자생하며 꽃대가 20~40cm 정도로 자라며 꽃은 홍자색으로 엷은 분홍빛과 꽃술은 짖은 분홍색을 띱니다. 꽃대는 단면양쪽이 볼록하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습니다. 잎은 일반부추보다 진액이 많으며 잎과 비늘줄기에는 연한 마늘냄새가 나는데요 이것이 알리신(Allicin)이라는 향기성분 때문으로 마늘과 부추에서 나는 향과 같은 성분입니다. 두메부추의 효능 : 두메부추를 자주 먹으면 장이 튼튼해집니다. 두메부추는 항균, 항염작용을 합니다. 부추의 성분은 일반부추와 두메부추와 같은 것.. 2023. 10. 8.
살레시오 피정센터에서 만난 야생화( 잔대꽃, 참취꽃, 산박하,해국, 독활) 꽃말 바닷가 산기슭에 예쁘게 핀 야생화 잔대꽃, 참취꽃, 산박하꽃, 해국, 독활 등의 예쁜 꽃들을 많이 보았습니다. 긴 명절연휴를 집에서 편안하게 쉬면서도 가까운 곳에 여행을 떠나고 싶어서 간 곳 태안의 살레지오 피정센터에서 정말 오랜만에 만나는 야생화를 보게 되었습니다. 잔대 : 어린 시절 산에서 자주 보던 꽃인데 아주오랜만에 태안의 바닷가 산기슭에서 만난 잔대꽃이 왜 이렇게 예쁘게 보이는지 오늘은 사진만 찍어 왔는데요. 내년에는 진대를 파는 곳에서 사다가 화분에 키워보고 싶어 졌습니다. 잔대는 초롱꽃과 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입니다. 딱주라고도 하며, 한자어로 사삼이라고도 부릅니다. 산에서 자라는 식물로 뿌리에는 떨이 있는데요. 잔대의 꽃말은 감사, 은혜라고 합니다. 잔대의 효능에는 기침감기에 사용하며 .. 2023. 10. 2.
여뀌:: 여뀌나물 & 여뀌꽃 피는 시기 / 여뀌꽃말 /여뀌효능/ 여뀌염색 들꽃 여뀌가 너무 예뻐 집 화단에 들인 지 20년째 해마다 봄부터 여름까지 풀이라고 뽑고 여름이 깊어지면 분홍빛 꽃이 피어오를 때 그때쯤 인정해 주는 야생화 여뀌입니다. 마디 풀과의 여뀌는 한해살이 풀입니다. 분홍색 송이모양꽃차례로 꽃망울을 하늘로 향하고 있지만 꽃이 피고 씨앗이 여물어 이삭이 무거워지면 아래로 고개를 숙입니다. 여뀌 꽃피는 시기는 7월에서 10월까지입니다. 요즘 화단에도 여뀌가 피어있지만 제가 자주 가는 팔달산 오솔길옆에 역귀꽃이 한창 피어있습니다. 분홍빛 꽃은 오솔길을 예쁘게 수놓고 있습니다. 여뀌꽃 서식지로는 물이 있는 땅이면 어디든 서식합니다. 특히 물가, 하천, 모래밭, 도랑 주변, 하천 주변, 산기슭, 습한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왕성하게 잘 자라는 풀로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 2023. 9. 25.
큰꿩의비름 키우기:: 관리하기 쉬운 야생화 & 큰꿩의비름 삽목하기/ 물주기/ 꽃피는 시기/ 꽃말 진천의 어느 시골집 앞마당에서 만난 큰꿩의비름은 한 포기 나눔으로 27년째 저희 집 화단에서 또는 화분에서 잘 자라주고 있습니다. 올 가을에도 별 같은 예쁜 꽃을 활짝 펴서 분홍색 은하수를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큰꿩의비름 꽃을 보면 꽃도 예쁘고,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잘 자라고, 누구나 키우기 쉽고, 번식력이 강한 식물을 추천해 달라고 하다면 저는 큰꿩의비름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큰꿩의비름은 한국이 원산지인 우리 꽃입니다. 우리나라 산과 들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랍니다. 건조한 바위틈바구니에서 자라는 것도 산행길에서 가끔 만나기고 합니다. 큰 꿩의비름은 물을 좋아하는 식물입니다. 올해는 습한 화단에 심었는데 꽃을 너무 예쁘게 잘 피웁니다. 큰꿩의비름 월동이 되는 식물입니다. 봄에 뿌리에서 여러 개의.. 2023. 9. 24.
팔달산 꽃무릇 군락지 :: 꽃무릇 알뿌리 심는법 & 꽃무릇 꽃말/ 꽃무릇 효능 요즘 팔달산에는 야생화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고마리, 여뀌, 꽃무릇이 아름답게 산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요즘 팔달산에는 맨발로 걷기가 유행하고 있어서 저도 따라 걸어봤는데요. 그렇게 걷다 보니 빠른 걸음보다는 지구와 좀 더 가까워진 것 같은 기분으로 들꽃들과 나무들과도 친해진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며 팔달산 숲길을 걷게 되는데요. 다 걷고 가져 건 물로 발을 닦고, 양말과 신을 신고, 도로로 내려오려는데 지금껏 보이지 않다 꽃무릇이 빨갛게 쏟아 예쁘게 피어있었습니다. 꽃무릇을 상사화라고도 하는데요. 특히 꽃무릇은 붉은 상사화라고 부릅니다. 꽃무릇은 수선화과의 식물로 학명은 Lycoris radiata 입니다. 꽃무릇 원산지 : 꽃무릇 원산지는 대한민국입니다. 꽃무릇은 꽃색이 붉은(빨간) 색입니다. .. 2023. 9. 22.
고마리:: 고마리꽃 & 고마리 쓰임 / 고마리 효능 / 고마리 꽃 꽃말 고마리꽃은 어린 시절 시골 냇가 주변에서 자주 보던 예쁜 꽃입니다. 자세히 보면 신부의 위딩드레스처럼 곱고 예쁜 흰색꽃이 보이기도 하고 공주나 입을 법한 핑크색. 그리고 어린 내가 입으며 좋을 것 같은 붉은 무늬의 꽃도 있습니다. 이처럼 생각을 하며 어린 시절에 고마리 꽃을 한참 눈을 고정시키고 보았던 시절이 섬광처럼 빠른 속도로 제 머릿속에 다가왔습니다. 오늘 팔달산 산책길에서 만난 고마리꽃을 보면서 어린 시절 향수에 젖어 봅니다. 고마리꽃 피는 시기; 고마리꽃은 주로 냇가나 논가, 도랑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랍니다. 고마리키는 높이 1m가량 자라며, 꽃피는 시기는 8월~9월입니다. 꽃은 가지 끝에 연분홍색, 흰색, 홍색의 잎끝에 홍색점이 있는 꽃 등으로 뭉쳐나서 달립니다. 예쁜 꽃망울이 터지면 곱.. 2023. 9. 20.
까마중:: 까마중 효능 & 청혈차의 재료인 까마중/ 까마중꽃말 청혈해독 작용이 뛰어난 까마중 화단에서 예쁘게 자란 까마중을 보면서 심지 않아도 잘 자라는 까마중에도 좋은 효능이 있는지 찾아보았습니다. 화단에서 만난 까마중입니다. 까마중이 좋은 것이라는 것은 익히 들어서 알고 있지만 꽃도 예쁘지 않고 열매가 예쁜 것도 아니어서 화단에서 뽑아버리곤 했었는데 올해 날씨가 너무 더워 화단을 자세히 살피지 않았더니 까마중이 크게 자라 열매가 까맣게 익어서 자랑이라도 하듯 저를 보고 싱긋 웃는 것 같이 보입니다. 까마중은 가지과의 한해살이식물입니다. 지역에 따라 이름이 다른데요. 강태, 깜도라지, 까마중이, 용규라고 합니다. 까마중줄기는 높이 50~100cm 정도까지 자랍니다. 잎은 나물로 무쳐먹기도 한다고 합니다. 까마중 꽃피는 시기 : 까마중꽃은 5~7월에 흰색꽃을 피우며.. 2023. 9. 7.
여름꽃 버들마편초 키우기 :: 버들마편초 번식법(삽목/씨앗) & 버들마편초 꽃말 생명력 강한 보랏빛 버들마편초 강한 번식력과 우기에 쑥쑥 잘 자라는 여름꽃 버들마편초 버들초는 원산지가 남아프리카인 식물입니다. 마 편 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경남 마산의 부두에 귀하라여 살기 시작하여 지금은 우리나라에서도 적응이 잘 되어 여름꽃으로 화단을 풍성하게 하고 있는 버들마편초꽃입니다. 버들마편초는 버들잎을 닮았다 하여 버들마편초라고 이름 지어졌다고 합니다. 마편초의 생김새 : 마편초 높이는 1~1.5m 정도 큽니다. 줄기가 네모지고 깔 칠 합니다. 잎은 마주나기이며 잎자루가 없습니다. 잎은 선형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맥은 함몰되어 주름집니다. 꽃은 잎안쪽에서 줄기가 나와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보라색으로 핍니다. 버들마편초 번식법 : 버들마편초는 노지 월동도 잘되고 자연.. 2023. 8. 30.
728x90
반응형